돈되는 경제정보(부동산,주식 ,생활정보)

공공요금 인상, 이제 시작… 올해 얼마나 오르나

짱조아 2 2023. 2. 21. 04:51
반응형

[머니S리포트 '저성장 쇼크' 경고음] ② 난방비·전기료 폭탄… 2분기 추가 인상 불가피

[편집자주]대한민국 경제에 적신호가 켜졌다.

글로벌 경기침체가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의 수출은 둔화하고 무역수지는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

전기·가스요금 등 공공요금도 급격히 인상돼 가계부담을 키우며 물가상승을 자극하고 내수를 위축시키고 있다.

소비가 둔화되면서 기업들의 창고엔 재고가 쌓여간다.

이대로는 올해 정부가 제시한 1.6% 성장률 달성이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다.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을 지킬 묘수는 무엇일까.


공공요금 급등으로 소상공인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서울 시내 전통시장에서 상인이 장사 준비를 하고 있다. / 사진=뉴스1 김민지 기자

▶기사 게재 순서

①출구 안보이는 수출… 올해 '1% 성장률'도 위태

②공공요금 인상, 이제 시작… 올해 얼마나 오르나

③지갑 닫는 소비자… 기업 수익성 비상등

④회복 요원한 韓 경제… 성장률 지킬 해법은

국내 소비자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올 들어 전기·가스요금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물가 상승률을 끌어올리고 있어서다.

문제는 공공요금 인상이 이제 시작이라는 점이다.

정부가 에너지 요금 인상폭과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밝혔지만 공기업 적자 해소를 위해선 추가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도 8년 만에 인상이 예고돼 있어 5%대 고물가 기조가 장기화 될 것이란 우려가 커진다.


전기·가스비 인상에 소비자 물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0으로 전년 동월 대비 5.2% 상승했다.

지난해 7월 6.3%로 정점을 찍었던 물가 상승률은 9월 5.6%, 11월·12월 5.0%로 둔화 양상을 보였지만 3개월 만에 다시 상승 전환했다.

이번 달도 물가 상승률이 5% 초반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물가 상승률이 급등한 배경은 전기요금·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장기화로 글로벌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국내 요금도 크게 치솟았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액화천연가스(LNG) 평균 가격은 열량단위(MMBtu)당 34.24달러로 전년 대비 128% 급등했다.

국내 가스 수입액도 567억달러로 전년보다 84.4% 증가했다.

이로 인해 난방에 주로 사용되는 주택용 열요금은 메가 칼로리(Mcal)당 89.88원, 도시가스 요금은 19.69원으로 전년보다 37.8%, 38.4% 각각 상승했다.

올해 1분기 가스요금은 동결됐지만 지난해 인상분만으로 겨울철 난방비가 폭등하고 있다.

전기요금도 큰 폭으로 올랐다.

정부는 지난해 3차례에 걸쳐 전기요금을 킬로와트시(㎾h) 당 총 19.3원을 인상한 데 이어 올해 1월부터 추가로 ㎾h 당 13.1원 인상했다.

직전분기보다 9.5% 오른 것이자 역대 최대 인상이다.

이에 따라 월 평균 307㎾h를 사용하는 주택용 4인 가구 기준으로 올해 1월부터 월 평균 4022원의 요금을 추가로 납부하는 상황이다.

공공요금 인상으로 민심이 경색되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5일 에너지 요금 인상 폭과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기의 문제일 뿐 에너지 공기업 적자를 줄이려면 인상은 피할 수 없다.

정부는 2026년까지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을 해소하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가스공사 미수금은 8조8000억원에 달한다. 2026년까지 이를 해소하려면 올해 필요한 요금 인상분은 메가줄(MJ)당 10.4원이다.

올해 1분기 가스요금은 동결됐기 때문에 2분기부터 매분기 3.46원씩을 올려야 예정된 인상분을 맞출 수 있다.

가스요금 인상안이 현실화 될 경우 서울 기준 가구당 월평균 가스 사용량(2000MJ)을 고려하면 가스요금이 2분기에만 월 6933원가량 추가로 오르게 된다.



인상요인 여전… 5%대 물가상승률 지속 우려


전기요금도 추가 인상된다.

앞서 산업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3년 전기요금 인상안은 ㎾h당 51.6원이었다.

1분기에 13.1원만 올린 만큼 앞으로 4분기까지 남은 38.5원의 인상분을 단계적으로 나눠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2분기에 12.9원이 오른다고 가정할 경우 4인 가구의 월 평균 전력사용량 307㎾h으로 계산하면 전기요금 부담은 3960원 늘어난다.

정부는 지난해 30조원가량 적자를 낸 한전의 경영정상화를 위해선 요금 인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다른 공공요금도 줄인상된다.

정부는 도로, 철도, 우편 등 중앙정부가 관리하는 공공요금은 상반기 최대한 동결하겠다고 밝혔지만 지자체 대중교통 요금은 인상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이달 1일부터 택시 기본요금을 3800원에서 4800원으로 1000원 인상한 데 이어 하반기에 지하철과 버스요금을 300~400원가량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가 요금을 인상하면 인근 수도권 등 다른 지자체의 대중교통 요금도 줄줄이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

잇단 공공요금 인상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지적이다.

김정식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전기·가스요금 등 공공요금이 오르면 전반적인 물가가 높아지기 때문에 금리인상을 압박하게 된다"며 "현 상황에서 금리가 더 오르면 경기가 더 침체되기 때문에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지난해 물가와 금리 인상 여파로 세금·이자폭탄을 맞은 상황에서 공공요금이 추가로 오르면 국민들의 생활이 너무 어려워진다"며 "정부가 공공요금을 올리는 시기와 폭을 세심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그동안 미뤄진 인상요인 반영해 요금을 현실화하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국민 부담이 급격히 하면 안 되기 때문에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차상위나 중산층을 대상으로도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는 가구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의 지원도 검토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한듬 기자 (mumford@mt.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