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관리를 하다 보면 누수관련 일들이 심심찮게 발생한다.
내가 관리하고 있는 아파트에서도 세대 집 앞 누수가 발생했었다.
현장 그림

세대 방화문 앞에 바닥 타일이 젖을 정도로 베어나오고 있었다. 그런데 새는 양이 극히 적어서인지 누수부위를 찾기가 힘들었다. 누수탐지회사에 의뢰를 하였다.
우일누수탐지 공사라고 20년 전에 의뢰해본 경험이 있어
다시금 협조를 구했지만 업체가 워낙 대공사 위주로 작업을 해서인지 소소한 일에는 견적 제출해주는걸 꺼려했다.
할수없이 다른 업체를 불러 진단해본 결과 보일러실쪽 바닥 누수라는 것이다. 세탁기가 있었는데 세탁기를 하루동안 쓰지말아달라고 당부하고 타일이 마르는지를 몇 일 지켜보았다.
아주 서서히 마르고 있어 긴가민가 했는데 세대내에서 바닥 방수 작업을 하고 현재는 말라들어가고 있다.
이처럼 누수는 새는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는것이 가장 중요하고 누수원인이 공용부에서 생긴것인지 세대내 전유부분인지에 따라서 비용의 출처가 가리게 된다.
공용부분에 대한 것이라면 관리비로 비용을 지출 할수 있는 부분으로 업체를 선정하여 수리를 해야할 것이고 전유부분이면 세대에서 업체를 선정하여 수리해야 하는 상황인것이다.
아파트 누수관련 사례들은 매우 다양하다. 세대 내 위 아래층 누수부분도 있고 창틀 샷시쪽 실리콘 코킹이 낡아 새어 누수되는 경우도 있고 배관이음새에서 구멍이 생겨 누수되기도 하고 배관이 막혀 생기는 경우도 있다 . 이처럼 다양한 사례들을 아래 소장님의 경험담 사례들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자.

어느 관리소장의 경험담 사례
누수 1
세대내 거실 천정에서 물이 떨어지고 전등에도 물이 고여 있다고 한다.
직원들이 위층 세대에 올라가 점검을 했으나 누수 되는 곳을 찾지 못했다.
위층 세대는 자기 집에서 새는 것이 아니니 관리사무소에서 알아서 하라고 한다.
물이 계속 새는 것이 아니고 멈춘 상태인 것을 보니 급수, 온수, 난방배관은 아니고, 피트도 멀기도 하지만 멈춘 상태가 며칠 계속되니 공용부분의 배수관도 아니고 원인을 모르겠다.
위층 세대에서도 나도 외부사람을 불러 보았으나 원인을 찾지 못했다.
그리고 일주일 정도 지나서 다시 누수가 있다고 신고가 들어왔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비가 온 후 누수가 있었다. 그런데 빗물이 샷시에서 베란다 바닥을 지나 거실천정에 떨어지기에는 거리가 멀다. 드문 일이나 빗물외에는 답이 없다. 위층에 이야기 했으나 씨도 안 먹힌다.
날을 잡아 손거울을 비춰가며 샷시에 실리콘으로 방수작업을 했다. 다행히 그 후로 누수가 없었다.
위층에서는 그래도 관리사무소에서 하란다(아래층 천정보수)
“이제 인정을 하시지요”
[출처] 누수 1|작성자 사랑
|
누수 2
해운대신시가지 지역난방
2층 주방 천정에서 물이 떨어진다.
위층에서 누수 되는 곳을 못 찾고, 누수탐지업체를 불렀다.
주방 옆 베란다쪽 피트에 구멍을 내고 내시경으로 보았으나 찾지를 못했다.
피트벽이 물기로 젖어 있는 것을 보고 위층으로 가보니 위층에는 조금 적게 젖어있다. 그 위층으로 그 위층으로 몇 층을 올라가다가 직원에게 세대 점검을 시켰다. 7층 싱크대 안에 난방분배기 밸브의 너트에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찾았다.
7층 난방분배기에서 떨어지는 물이 피트를 타고 내려가다가 2층 주방 천정에서 떨어진 것이다.
[출처] 누수 2|작성자 사랑
|
누수 3
해운대신시가지
16층 세대현관문 위 천정에서 물이 떨어져서 위층 점검을 했으나 찾지를 못했다.
20층 옥상을 가보니 옥상배관프라스틱덮개가 출입문 쪽 벽과 사이가 벌어져있다. 실리콘으로 방수작업을 하니 누수가 멈추었다.
빗물이 옥상에서 계단 쪽 소방배관피트를 타고 내려가다가 16층 현관문 위 천정으로 떨어졌다.
[출처] 누수 3|작성자 사랑
|
누수 4
해운대신시가지 입주 10년차
10층 주방 천정에서 물이 떨어져서 점검 끝에 베란다 쪽 피트의 공동배관이 의심스러워 점검구가 있는 12층 피트를 살펴보았으나 아니고 11층 세대의 피트에 구멍을 내고 점검구를 새로 만들어야겠는데
11층에서는 “부인이 아프다, 바쁘다” 하며 차일피일 미루고 집에 들어가 작업을 할 수 없게 한다. 아래층은 여름 더운 날씨에 곰팡이가 피고 냄새가 나고--
10일 정도 지나 겨우 사정을 해서 피트에 구멍을 내니 배수관 연결부에서 누수가 되고 있었다.
작업을 끝내고 11층 사장님 말씀
“입주 1년차에 샷시에 물이 새서 관리사무소에 가니 수리를 해주지 않아서 다음에 보자하고 있었는데 잘됐다. 그래서 작업을 못하게 했다.”
[출처] 누수 4|작성자 사랑
|
누수 5
공동수도가 갑자기 많이 나와서 어떻게 해야 하나 하고 고민 끝에 저수조에 물을 받지 않는 시간에 메인계량기를 보니 숫자가 조금씩 올라간다. 1시간 뒤에 보니 많이 돌았다.
메인계량기에서 저수조 사이에는 옥외소화전이 있다. 옥외소화전배관밸브를 잠그자 메인계량기가 정지됐다.
누수탐지기로 찾지를 못했다. 침하된 곳도 없고--
지하주차장 지하2층 벽에 배수관들이 있는데 비가 올 때면 배수관으로 물이 나왔다. 한 곳이 비가 오지 않는데도 물이 나와서 지상 같은 위치를 보니 화단에 옥외소화전이 있다. 한참을 파 내려가니 엘보에 손톱만한 구멍이 있다.
누수는 찾기가 어렵다.
[출처] 누수 5|작성자 사랑
|
누수 6
공동수도가 평소보다 700톤 가량 더 많다.
누수 되는 곳을 찾아 나섰다. 옥외소화전배관은 몇 년 전에 부스타공사를 하면서 스텐으로 교체를 해서 그 곳은 이상이 없고
동 지하에서 화단과 도로, 어린이놀이터를 지나 미화원 휴게소에 가는 배관밸브를 물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잠갔다가 열었더니 물 흐르는 소리가 난다. 다시 잠갔다가 서서히 열자 쌔-- 소리가 난다.
누수탐지기로 찾지 못하고 전체 배관을 교체했다.
공동수도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상수도사업본부에 수도누수감면신청을 해서 상당부분 감면을 받았다.
[출처] 누수 6|작성자 사랑
|
누수 7
402호에서 새로 이사 와서 집수리를 하다가 화장실 옆 작은방 벽에 물기가 있다고 신고가 들어왔다.
화장실벽 뒤 피트가 있는 쪽이라 배관이 누수가 되나 싶어서 벽에 구멍을 내어보니 위에서 물이 방울방울 떨어졌다.
피트가 좁은 공간이라 머리도 들이밀기 어려워서 손거울을 사용했다. 왼쪽 손에 손거울을 들고 피트 안으로 넣고 후라쉬를 손거울에 비치면 어둡고 좁은 공간도 밝게 볼 수가 있다. 이리저리 살펴보니 바로 위층에서 물이 나오고 있었다.
위층 502호 수도 계량기를 잠갔다가 열자 계량기의 별표모양의 수레바퀴가 돈다. 급수, 온수, 난방배관 중에 하나가 누수다.
위층에 이야기 했으나(수리를 하지 않으면 물이 점점 더 많이 새고 피해부분이 확대되고 피해보상을 해주어야 한다) 수리를 거부해서 할 수 없이 인테리어업자가 비닐장판으로 물이 벽 쪽으로 오지 않도록 하고 구멍을 막고 도배를 했다.
일주일 정도 지나서 403호 작은방 천정에서 누수가 된다고 연락이 왔다. 402호와 벽을 사이에 두고 화장실과 작은방이 같은 구조다.
503호에 누수점검을 했으나 누수가 없다.
작은방 천정에서 누수가 며칠을 계속되고 있는데 502호는 수리를 거부하고
결국 관리사무소 말은 듣지 않으니 403호에서 502호에 직접 이야기해서 수리를 하고 나서야 누수 소동은 끝이 났다.
물이 옆집으로 흘러가서 아래로 떨어졌다.
[출처] 누수 7|작성자 사랑
|
누수 8
폭우가 온다.
시설물을 점검하던 주임이 오더니
“소장님, 지하주차장 천정에 물이 많이 떨어집니다. 가 보셔야겠습니다.”
지하주차장 2층 천정 여러 곳에 제법 많은 물이 떨어진다. 지하 1층으로 올라가보니 쓰레기와 낙옆이 트렌치 배수구를 막고 있었다. 물이 트렌치에 넘쳐서 지하주차장 바닥으로 흘러가 균열이 있는 곳에서 아래층으로 떨어진다.
배수구 청소를 하자 물 떨어지는 것이 멈추었다.
[출처] 누수 8|작성자 사랑
|
누수 9
3층 세대에서 작은방 벽에 습기가 많다고 민원이 있다.
방수업체에서는 결로라고 환기를 시키라고 한다.
세대에서는 환기를 시켜도 마르지를 않아 도배를 할 수가 없다고 한다.
작은방은 화장실 옆이다.
4층에 올라가 보니 역시 벽에 습기가 있다.
5층에 가보니 그곳은 습기가 없다.
6층에 가니 벽뿐만 아니라 방바닥까지 습기가 많다. 7층에서 화장실 공사를 하고부터 습기가 차기 시작했는데 7층에 이야기 하여도 수리를 하지 않는다고 한다. 화장실 천정 점검구를 열어보니 천정에서 물방울이 한 방울씩 떨어지고 화장실과 작은방 사이 핏트에 물기가 있다. 핏트 점검구가 작아서 머리를 넣지 못해 스마트폰으로 촬영을 해서 확대해서 살펴보았다.
7층에 가서 화장실 천정 점검구와 핏트를 보니 습기가 없다. 7층 주인에게 상황설명을 하고 수리를 하지 않을 경우 아래층으로 물이 계속 흘러 피해가 많아지고 손해배상을 해주어야 한다고 하니 공사업체를 불러 수리를 한다. 화장실 세면기 혼합가랑 벽속의 연결부에서 누수가 되었던 것이다.
[출처] 누수 9|작성자 사랑
|
누수 10
12층 세대에서 천정에서 물이 떨어진다고 신고가 들어왔다.
11층 세대에 가서 싱크대 문을 열고 살펴보니 급수배관 쪽에 물방울이 떨어진다.
싱크대 위에는 누수 되는 것이 보이지 않는다.
한참을 찾다가 싱크대 수도가랑 헤드를 빼보니 호스 연결부에서 한 방울씩 물이 떨어진다.
#. 바닥에 있는 온수배관이나 난방배관이 누수 되는 경우도 있는데 부분 수리를 하니 얼마 지나지 않아서 또 다른 곳이 누수가 된다. 배관이 오래 되거나 불량품인 경우 전체교체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출처] 누수 10|작성자 사랑
|
누수 11(누수세대 확인방법)
공용부분 누수는 전문업체 비용을 관리비로 부과하면 되겠지만 세대누수는 전문업체 출장비를 세대에서 부담하지 않으려 함으로 세대에서 비용을 부담하지 않겠다고 하면 어려운 일이다.
관리사무소에서는 어느 세대에서 누수가 되는지 확인하고, 세대에 알려주는 것까지 하고 그 이후는 할 수 있는데 까지 찾아보면 될 일이다.
그러면 간단하게 세대 누수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수도계량기를 살펴보아 별표모양의 톱니가 돌아가면 물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인데, 물을 사용하지 않는데 돌아가는 것은 누수라고 보면 된다.
천정에서 물방울이 한 방울씩 떨어지는 경우에도 톱니가 미세하게 돌아간다. 수도계량기를 잠갔다가 열면 빠르게 돌아갔다가 처음처럼 미세하게 돌아간다.
이런 현상은 수도계량기를 잠갔을 때 배관에 물이 한 방울씩 빠져나가서 배관 내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다시 열면 압력이 보충될 때까지 톱니가 빠르게 돌다가 압력이 차면 누수 되는 양만큼 돌아가게 된다.
누수의 원인은 여러 가지로 다양해서 눈에 보이는 것, 보이지 않는 것은 추정을 해야 하고,
수도, 온수, 난방배관이 누수 되는 경우는 멈추지 않고 점점 많이 새고, 공용하수관 누수도 계속 새고, 세대 하수관 누수는 새다 안 새다 한다.
빗물이 새는 경우는 비올 때만 샌다.
기타 여러 가지 누수 현상은 누수1 ~ 누수 10을 참조하기 바람.
[출처] 누수 11(누수세대 확인방법)|작성자 사랑
|
누수 12
일요일 오전 세대 거실 천정에서 물이 떨어진다고 신고가 들어왔다.
세대에 가보니 거실 천정 여러 곳에서 물이 떨어지고 작은방과 베란다도 물이 떨어진다고 한다. 너무 많은 물이 떨어져서 바닥에 물이 흥건하다. 어제 야근을 하고 아침에 왔다고 한다.
위층세대 초인종을 눌러도 인기척이 없어서 수도계량기를 보니 톱니가 빠른 속도로 돈다. 수도계량기를 잠그고 위층세대 전화번호를 찾아 상황설명을 하니 여행을 갔다가 지금 오는 중인데 2시간 정도 걸린다고 한다.
위층세대의 배란다에 있는 청소용 수도호스에서 누수 되어 이 물이 거실로 들어오고 아래층으로 떨어졌다.
워낙 많은 물이 밤새 흘러 수도계량기를 잠그고 1시간이 지나도록 천정에서 물이 떨어진다.
베란다 수도 호스는 사용 후에는 꼭 잠궈야 하겠다
[출처] 누수 12|작성자 사랑
|
누수 13
아침에 출근을 하자 전화벨이 울린다.
“안방 천정 스프링클러에서 물이 떨어집니다. 어제 물이 떨어졌는데 지금은 안 떨어집니다.”
“지금 안 떨어지면 스프링클러가 새는 것이 아닙니다. 스프링클러는 배관 내에 압력이 있어서 한번 새면 점점 더 많이 새지 멈추지는 않습니다.”
세대에 방문을 해서 안방 천정을 보니 스프링클러 헤드 주위에 물기로 도배지가 젖어 있다. 양동이를 받쳐 놓고 있다. 어제 저녁 7시경 4시간 가량 물이 떨어졌다고 한다.
위층 세대에 방문을 해서 안방 옆에 있는 주방 싱크대 문을 열고 배관 등을 살펴보아도 새는 것을 찾지 못했다. 주위바닥을 보니 변색이 되었고 젖어 있는 것이 누수가 오래된 것 같다.
싱크대 아래쪽 하판을 열고 보니 바닥에 물이 흥건하게 고여 있다. 싱크대 하수관이 일부 막힌 것 같다. 물을 많이 사용할 때 하수관에서 넘친 것이다.
“하수관이 막혀서 물이 넘쳤네요. 하수관을 뚫으세요.”
[출처] 누수 13|작성자 사랑
|
아파트 생활을 하는 이웃님들과 초보 관리소장님께 많은 도움이 되어길 바라면서 안뇽~~

'직업관련(아파트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전이 되면 관리사무소에선 무얼하나요? (8) | 2023.02.12 |
---|---|
소방시설 스프링쿨러 에 대해 알아보자 (알람밸브, 프리엑션밸브) (2) | 2023.02.12 |
여름철에만 지하주차장 바닥이 물로 더러워져요 ㅠㅠ (결로현상) (3) | 2023.02.10 |
세입자는 장기수선충당금 꼭 챙기세요! (6) | 2023.02.09 |
택배 관련 민원은 어떻게 대처할까요? (3) | 2023.02.08 |